안녕하세요 찐망고 입니다.
폰트관련 카드 뉴스를 만들다가 내용이 길어져서 블로그 포스팅으로 먼저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현재 웹이나 앱을 디자인 하는 직종에 있는 사람이라면
기본적으로 어떤 폰트를 많이 쓰고 있는지 알고 있을 텐데
왜 이폰트를 많이 사용할까? 왜 이폰트가 트렌드가 되었을까에 대해 고민해본적이 있을까 싶다.
이게 나름 다 이유가 있고 앞으로 주목할 폰트까지 정리해 보았으므로
포스팅을 쭉 한번 읽어보길 바라는 마음에 시작!
1. 노토산스의 시작
처음 노토산스(Noto Sans) 가 출시됐을 때, 기존 유료 고딕 폰트의 대체제로 큰 주목을 받았다.
한국어·중국어·일본어를 모두 지원하는 다국어 호환성과 무료 배포가 강점이었다.
자간이 다소 넓지만, 웹에서는 letter-spacing을 조절하면 충분히 대응 가능했다.
이 덕분에 노토산스는 빠르게 웹·앱 전반에서 표준 폰트로 자리잡았음.
2. 웹 폰트 사용의 특성
웹사이트는 디자인 산출물과 달리 여러 폰트를 섞어 쓰는 것을 피하는 경우가 많다.
속도, 가독성, 브랜드 일관성 때문이다.
그래서 하나의 폰트로 디자인 효과까지 주는 방식이 선호되고,
특히 한글 지원과 다양한 Weight를 제공하는 폰트일수록 작업 효율이 높았다.
3. 프리텐다드의 등장과 Variable
노토산스 이후, 이를 개선한 폰트들이 속속 등장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프리텐다드(Pretendard)이다.
프리텐다드는 노토산스 대비 자간, 가독성, 곡선 마감 등이 개선됐으며,
무엇보다 Variable(가변 폰트) 지원이 핵심이다.
Variable 폰트란?
굵기·폭 등 스타일을 하나의 파일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폰트.
이 덕분에 폰트 파일 개수를 줄이고, vw 단위에 맞춰 크기·두께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많은 웹사이트에서 프리텐다드를 채택하게 되었고,
현재는 사이트 10개 중 8개가 프리텐다드를 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포스팅이 잘되어있는 관련 블로그 링크를 걸어봄
Variable fonts (가변 폰트) | WIT블로그
Variable fonts (가변 폰트) 정리
wit.nts-corp.com
4. 프리텐다드 이후, 주목할 폰트들
프리텐다드가 웹에서 표준처럼 자리 잡았지만, 프로젝트 성격이나 디자인 톤에 따라 다른 선택지를 쓰는 경우도 많다.
특히 Variable 지원 여부, 글자 구조, 브랜드 분위에 따라 폰트를 고른다.
- SUIT / SUITE
앱 UI에 최적화된 폰트. 글자의 위·아래 여백을 동일하게 맞춰 시각 균형이 뛰어나고,
고정폭 숫자와 변형 글자를 제공해 영문·숫자 혼합 시리얼 번호 등도 깔끔하게 표현 가능. - 지마켓 산스
Variable은 지원하지 않지만, 브로슈어·상세페이지 등에서 강약 조절이 뛰어나 브랜드 개성을 살리기 좋다. - Paperlogy
지마켓 산스의 감성을 유지하면서도 Variable을 지원해, 앞으로 실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WEB > FO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market폰트 대체 폰트 - 페이퍼로지폰트 (0) | 2025.07.19 |
---|---|
Pretendard 가변 폰트 다운로드 & 적용 방법 (2) | 2025.02.24 |
MinSans vs Pretendard | 한글 가변 폰트(Variable) 비교 & 실제 사이트 적용 (0) | 2025.02.21 |
SUIT폰트로 만들어진 웹사이트 (0) | 2025.02.06 |
Windows에서 Apple SF-Pro 폰트 사용하기: TTF 파일 공유 (79) | 202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