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웹디자인개발기능사

2025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시험 관련 문항 - 기초 데이터 및 프로토타입 설계

찐망고 2025. 5. 9. 00:04
반응형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웹디자인개발기능사 문항이 올해부터 많이 바뀌어서 시험본 제자들과 SNS의 댓글로 취합을 해보고 

전자책을 만들어볼까 했는데요 (무료배포예정)

아무래도 취합된 자료가 많지 않아 일단 블로그에 공유 해봅니다.

 

PART1은 기초 데이터 및 프로토타입 설계관련 문항이고 총 40문제입니다.

 

 

1. 다음 중 웹디자인 프로젝트의 기초데이터로 가장 적절한 것은?

  • a) 광고비
  • b) 사용자 요구사항
  • c) 회계 보고서
  • d) 회사 내부 인사정보
더보기

사용자 요구사항은 웹디자인의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기초데이터

기초데이터 = 사용자 요구, 시장 분석, 기술요건 
광고비는 마케팅 예산에 해당하고, 웹디자인의 기능/구조를 결정짓는 기초정보는 아님

회계보고서는 회사의 재무 정보로, 디자인이나 사용자 경험 설계에는 직접적인 영향 없음

내부 인사정보는 보안·관리 대상이지 디자인 의사결정에는 필요하지 않음

2. 경쟁사 분석 시 주로 고려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 a) 기능
  • b) 가격 정책
  • c) 팀 구성원
  • d) 디자인 트렌드
더보기

팀 구성원은 경쟁 제품 분석 시 핵심 요소가 아님

경쟁사 분석 = 기능, 디자인, 가격, UI/UX 전략 등

3. 데이터의 분류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a) 정성적 데이터
  • b) 정량적 데이터
  • c) 실시간 데이터
  • d) 감정 데이터
더보기

감정 데이터는 공식적인 데이터 분류로 사용되지 않음

데이터 분류 = 정성적, 정량적, 실시간 데이터 등

정성적 데이터 (Qualitative Data) = 숫자로 표현할 수 없는 감각적, 주관적 정보

예) 사용자 인터뷰, 만족도 표현, 관찰 기록 -> UX 리서치, 사회조사, 인터뷰 분석

정량적 데이터 (Quantitative Data) = 수치화 가능한 정보

예) 클릭 수, 페이지뷰, 전환율 등 -> 통계 분석, 마케팅, 실험 결과 측정

실시간 데이터 (Real-time Data) = 수집 즉시 처리되는 정보

예) 실시간 방문자 수, 실시간 위치 정보 등 -> 웹 분석, IoT, 실시간 모니터링, 서버 로깅

4.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는?

  • a) Figma
  • b) Photoshop
  • c) Google Analytics
  • d) Visual Studio
더보기

Google Analytics는 방문자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도구

웹 분석 도구 = Google Analytics, Hotjar 등

5. 다음 중 레퍼런스 데이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a) UI 패턴 조사
  • b) 경쟁사 분석
  • c) 광고 타겟 설정
  • d) 타이포그래피 트렌드
더보기

광고 타겟 설정은 마케팅 전략에 가깝고, UI/UX 개선을 위한 레퍼런스와는 거리가 있음

레퍼런스 데이터 = 디자인 사례, UI 트렌드, 벤치마킹 등

6. 다음 중 브레인스토밍 기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a)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 b) 논리적 분석이 우선이다
  • c) 다양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시한다
  • d) 반드시 도식으로 표현한다
더보기

브레인스토밍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시하는 창의적 사고기법

아이디어 발상 = 브레인스토밍, 자유로운 사고, 창의성

7. 아이디어 발상 기법 SCAMPER에서 'A'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a) Add
  • b) Avoid
  • c) Arrange
  • d) Answer
더보기

SCAMPER는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대표적인 창의적 사고 기법

Substitute = 다른 것으로 바꿔보면? (예: 재료, 사람, 과정 등)

Combine = 두 가지 이상을 결합해보면? (예: 기능, 콘셉트)

Add (Adapt) = 무언가를 더하거나 유사한 것을 적용하면? (예: 새로운 기능 추가, 장식 요소 삽입)

Modify (Magnify/Minify) = 크기, 속성 등을 바꾸면? (예: 더 크거나 작게, 더 빠르게, 더 느리게)

Put to another use =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는 없을까? (예: 전혀 다른 상황에 활용하기)

Eliminate = 불필요한 것을 제거해보면? (예: 불필요한 요소 제거, 단순화)

Reverse (Rearrange) = 순서를 바꾸거나 거꾸로 하면? (예: 앞뒤 전환, 상하 반전, 과정 변경)

8. 아이디어 검증 시 가장 적절한 방법은?

  • a) 랜덤 생성
  • b) 피드백 없는 구현
  • c) 사용자 테스트
  • d) 기능 우선 개발
더보기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아이디어의 타당성과 실제 효과를 검증할 수 있음

검증 = 사용자 피드백, 사용자 테스트, MVP

9.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 a) 실현 가능성
  • b) 사용자 공감도
  • c) 경쟁사 사장 의견
  • d) 시장성
더보기

경쟁사 사장 의견은 객관적인 평가 기준으로 보기 어려움

검증 기준 = 시장성, 실현 가능성, 사용자 공감도

10. 다음 중 마인드맵 활용 목적에 가장 가까운 것은?

  • a) 통계 분석
  • b) 시각적 아이디어 정리
  • c) 파일 백업
  • d) 브라우저 테스트
더보기

마인드맵은 아이디어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데 유용함.

마인드맵 = 시각화, 사고 구조화

11. 프로젝트 기획 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 a) 마케팅 계획
  • b) 사용자 분석
  • c) 디자인 선택
  • d) 기술 구현
더보기

사용자 분석은 프로젝트의 방향과 필요성을 정하는 핵심 출발점임

기획 순서 = 사용자 분석 → 기획 의도 설정

12. 사용자 페르소나는 무엇을 정의하는가?

  • a) 브랜드 컬러
  • b) 타겟 광고 문구
  • c) 가상의 사용자 프로필
  • d) 개발자 이름
더보기

페르소나는 가상의 사용자 모델로 사용자의 니즈와 행동을 구체화함

UX 기획 = 페르소나, 사용자 시나리오

13. 프로젝트 기획에서 SWOT 분석의 'T'는?

  • a) Trend
  • b) Topic
  • c) Threat
  • d) Time
더보기

'T'는 Threat(위협)으로 외부의 위험 요인을 뜻함

SWOT = 내부 요인(S, W)과 외부 요인(O, T)을 나눠서 파악하는 분석 기법

Strength (강점) = 우리 조직이나 제품이 잘하고 있는 것, 경쟁 우위 요소

예: 브랜드 인지도, 독창적인 디자인, 기술력

Weakness (약점) = 개선이 필요한 부분, 우리 조직의 취약한 점
예: 인력 부족, 낮은 웹 접근성, UX 설계 미흡

Opportunity (기회) = 외부 환경에서 유리한 요소, 확장 가능성
예: 새로운 트렌드, 경쟁사 부재, 정부 지원 정책

Threat (위협) = 외부로부터의 위험 요소, 장애가 될 수 있는 것
예: 신생 경쟁사 등장, 기술 변화 속도, 법적 규제 강화

14. 프로젝트의 타겟층 분석 요소로 옳은 것은?

  • a) 페이지 수
  • b) 색상 수
  • c) 연령과 성별
  • d) HTML 태그 수
더보기

연령과 성별 등은 타겟 사용자층을 설정하는 기준

사용자 분석 = 연령, 성별, 관심사 등

15. 다음 중 기획의도로 보기 어려운 항목은?

  • a) 웹사이트 목표
  • b) 버튼 색상
  • c) 사용자의 문제 정의
  • d) 기능적 특성
더보기

버튼 색상은 시각적 요소로, 기획 의도보다는 디자인 단계에 가깝다.

기획 의도 = 목적, 문제 해결 방향

16. 와이어프레임은 무엇을 시각화하는가?

  • a) 상세 기능 코드
  • b) 개발자 일정
  • c) 페이지 구조 및 레이아웃
  • d) 서버 구조
더보기

와이어프레임은 UI의 기본 구조와 페이지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데 사용

와이어프레임 = 레이아웃, UI 구성, 사용자 흐름 설계

17. 다음 중 목업(Mockup)의 특징은?

  • a) 단순 흑백 레이아웃
  • b) 클릭 가능한 기능 포함
  • c) 실제 UI 시안 형태
  • d) 기능적 실행 코드 포함
더보기

목업은 실제 디자인 요소를 포함한 정적인 시각적 시안

목업 = 시각적 완성도, 색상, 폰트, 구성 포함

18. 프로토타입 도구로 가장 적절한 것은?

  • a) Excel
  • b) Figma
  • c) Notepad
  • d) Premiere
더보기

Figma는 와이어프레임, 목업, 프로토타입까지 제작 가능한 UI 도구

프로토타입 도구 = Figma, Adobe XD, InVision 등

19. 아이디어 시각화 과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a) 사용성 테스트
  • b) 와이어프레임
  • c) 목업
  • d) 프로토타입
더보기

사용성 테스트는 프로토타입 이후의 평가 과정에 해당

아이디어 시각화 = 와이어프레임, 목업, 프로토타입

20. 프로토타입의 주된 목적은?

  • a) 코딩 테스트
  • b) 디자인 파일 백업
  • c) 사용자 흐름 및 피드백 검증
  • d) 브라우저 호환성 확인
더보기

사용자 흐름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

프로토타입 = 인터랙션 테스트, 사용자 검증 도구

21. 다음 중 UX 설계의 요소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a) 사용자 시나리오
  • b) 시각적 대비
  • c) 사용자 흐름도
  • d) 사용자 피드백 분석
더보기

시각적 대비는 UI 설계 요소이며, UX의 주요 구성은 아님

UX = 사용자 흐름, 시나리오, 피드백 중심 설계

22. UI 설계에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담당하는 역할은?

  • a) 페이지 속도 향상
  • b) 콘텐츠 자동 생성
  • c) 사용자의 위치 안내 및 이동 지원
  • d) 이미지 최적화
더보기

사용자가 위치를 인지하고 원하는 정보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구조

내비게이션 = 정보 탐색, 사용자 위치 안내

23. 사용성 테스트의 목적은?

  • a) 디자인 트렌드 예측
  • b) 콘텐츠 자동 업로드
  • c) 사용자 인터랙션 평가
  • d) 기술 스택 선정
더보기

디자인의 사용성, 효율성,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

사용성 테스트 = 사용자 관찰, 피드백 분석

24. 다음 중 반응형 웹 설계에 포함되는 요소는?

  • a) 이미지 보정
  • b) 미디어 쿼리
  • c) 배너광고 삽입
  • d) FTP 서버 접속
더보기

미디어 쿼리는 반응형 레이아웃 구현을 위한 핵심 CSS 기술임.

반응형 웹 = 미디어 쿼리, 유동 레이아웃

25. UI 구성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a) 버튼
  • b) 텍스트 필드
  • c) 명도 조절 알고리즘
  • d) 드롭다운 메뉴
더보기

명도 조절 알고리즘은 UI 설계 도구가 아닌 색상 조절 로직

UI 구성 = 버튼, 텍스트 필드, 메뉴 등

26. 정보 구조 설계의 주된 목적은?

  • a) 코딩 효율 향상
  • b) 사용자 정보 수집
  • c) 콘텐츠 접근성과 흐름 최적화
  • d) 이미지 용량 감소
더보기

정보의 접근성과 논리적 흐름을 설계하여 사용자 탐색을 용이하게 함

정보 구조 = 콘텐츠 구조화, 탐색 최적화

27. 웹사이트의 계층적 구조를 표현한 설계 도구는?

  • a) 워드 클라우드
  • b) 사이트맵
  • c) 애니메이션 차트
  • d) SQL 테이블
더보기

사이트맵은 웹사이트 내 페이지 간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함.

사이트맵 = 정보 계층 구조 시각화 도구

-> 각 페이지 간의 관계와 구조를 표현하는 정보 구조 설계의 핵심 도구

워드클라우드 = 텍스트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자주 나오는 단어를 강조해 보여주는 도구

-> 주제 파악, 키워드 분석에는 유용하지만 사이트 구조 설계에는 부적합

애니메이션 차트 = 시간이나 순서에 따라 움직임을 보여주는 시각 자료

-> UX 흐름 설명에는 사용될 수 있지만, 계층 구조와는 관련이 없음

SQL 테이블 =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구조적으로 저장하는 표 형식

-> 서버 데이터 처리용이지만 웹사이트 구조 설계와는 별개

28. 다음 중 정보 아키텍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 a) 콘텐츠 구성
  • b)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 c) 내비게이션 구조
  • d) 분류 체계
더보기

데이터베이스 인덱스는 정보 아키텍처 구성 요소에 해당하지 않음

정보 아키텍처 = 콘텐츠, 내비게이션, 분류 체계 등

29. 사용자 중심의 정보 구조가 필요한 이유는?

  • a) 이미지 배치 최적화
  • b) 사용자 탐색 효율성 향상
  • c) 로딩 속도 증가
  • d) 개발 언어 단순화
더보기

사용자 친화적인 정보 구조는 탐색 효율성과 만족도를 높임

사용자 중심 설계 = 탐색 흐름, 정보 접근성

30. 내비게이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 a) 위치의 일관성
  • b) 용어의 명확성
  • c) 색상 대비
  • d) 사용자의 개인정보
더보기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설계 요소와 무관

내비게이션 설계 = 명확성, 일관성, 위치 안내

31. 반응형 웹 디자인에서 '미디어 쿼리'의 주된 역할은?

  • a) SEO 최적화
  • b) 레이아웃의 크기 자동 조정
  • c) 쿠키 저장
  • d) 서버 보안 강화
더보기

미디어 쿼리는 디바이스 화면 크기에 따라 레이아웃을 조정

미디어 쿼리 = 반응형 CSS 적용

32. 모바일 퍼스트 디자인 전략이란?

  • a) 데스크탑부터 설계하는 방식
  • b) 코드보다 디자인 우선 설계
  • c) 모바일 화면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방식
  • d) 플래시 기반 디자인 방식
더보기

모바일 우선 설계는 모바일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디자인함

모바일 퍼스트 = 모바일 UX 우선 고려

33. CSS Grid와 Flexbox 중 2차원 레이아웃에 적합한 것은?

  • a) Flexbox
  • b) CSS Grid
  • c) Bootstrap
  • d) HTML Table
더보기

CSS Grid는 행과 열을 모두 다루는 2차원 레이아웃에 적합.

1차원레이아웃은 한 방향(가로 또는 세로)으로만 배치 정렬 = Flexbox

2차원레이아웃은 가로 + 세로 모두 제어, 행과 열 기반 정렬 = CSS Grid

Bootstrap -> CSS프레임워크로 Grid시스템을 제공하지만, Flexbox기반이 많음

HTML Table -> 레이아웃용으로는 비표준이고 접근성도 낮음

34. 다음 중 반응형 이미지 구현 방식은?

  • a) <meta name="viewport"> 설정
  • b) <img srcset> 속성 사용
  • c) z-index 조정
  • d) <object> 태그 삽입
더보기

<img srcset>은 해상도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도록 함

반응형 이미지 = srcset, sizes 속성

35. 다음 중 웹 반응형 테스트에 적절한 도구는?

  • a) Photoshop
  • b) Chrome DevTools
  • c) Excel
  • d) GitHub
더보기

Chrome DevTools는 다양한 해상도에서 반응형 디자인을 테스트할 수 있음.

반응형 테스트 =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 사용

36. 다음 중 플랫 디자인(Flat Design)의 주요 특징은?

  • a) 그림자 효과 강조
  • b) 단순하고 직관적인 시각 요소 사용
  • c) 입체적 표현 중시
  • d) 텍스처 강조
더보기

플랫 디자인은 입체감 없이 단순하고 직관적인 형태와 컬러를 사용

플랫 디자인 = 미니멀, 그림자 없음, 2D 아이콘 중심

37. 머티리얼 디자인은 어떤 회사에서 개발하였는가?

  • a) Apple
  • b) Adobe
  • c) Google
  • d) Microsoft
더보기

머티리얼 디자인은 Google이 개발한 디자인 언어로, 현실 세계의 재료와 빛의 개념을 디지털에 적용한 것

머티리얼 디자인 = Google, 깊이감, 애니메이션, 명확한 계층

구글머터리얼디자인 관련 포스팅 https://uiweb.tistory.com/211

38. 다음 중 뉴모피즘 디자인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 a) 과장된 컬러 대비
  • b) 그림자와 음영의 미묘한 사용
  • c) 플랫한 색상 배경
  • d) 실사 이미지 중심 레이아웃
더보기

뉴모피즘은 부드러운 그림자와 음영을 이용해 입체감을 주는 디자인 트렌드 ( “New” + “Skeuomorphism”의 합성어)

뉴모피즘 = 소프트 UI, 내부 그림자, 입체 버튼

플랫디자인 = 단순함, 그림자/입체감없음, 2D아이콘

스큐어모피즘 = 현실세계의 재료/형태를 디지털에 반영(ex. 가죽 텍스처UI)

머터리얼디자인 = 그림자, 레이어, 애니메이션으로 깊이감 표현 (구글개발)

39. 웹에서 3D 요소 활용 시 주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는?

  • a) jQuery
  • b) Bootstrap
  • c) Three.js
  • d) Laravel
더보기

Three.js는 WebGL 기반의 3D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3D 웹 라이브러리 = Three.js, WebGL, 객체 렌더링

40. 디자인 트렌드 중 '다크모드'의 장점으로 적절한 것은?

  • a) 시인성 저하
  • b) 리소스 사용량 증가
  • c) 눈의 피로 감소
  • d) 하드웨어 비용 절감
더보기

다크모드는 낮은 밝기로 인해 눈의 피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됨

다크모드 = 눈 보호, 배터리 절약, 사용성 증가

 

다음은 PART2 프로토타입 및 심미성 설계 관련 45문항을 추가로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