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웹디자인개발기능사 자격증 문제를 풀다 보면 디자인 관련 문제가 종종 등장합니다.
다음 중 플랫 디자인(Flat Design)의 주요 특징은?
- a) 그림자 효과 강조
- b) 단순하고 직관적인 시각 요소 사용
- c) 입체적 표현 중시
- d) 텍스처 강조
이런문제나,
머티리얼 디자인은 어떤 회사에서 개발하였는가?
- a) Apple
- b) Adobe
- c) Google
- d) Microsoft
이런문제
이에 도움이 되고자 시작한 오늘의 포스팅!
구글 크롬 로고를 보면 2008년부터 현재까지 디자인 흐름의 큰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로고 하나에도 시대의 디자인 철학이 담겨있답니다.
스큐어모피즘(Skeuomorphism) 시기
- 초기 크롬 아이콘은입체감과 광택, 그림자, 그라데이션 등 현실의 질감을 그대로 반영한 스큐어모피즘 디자인의 전형입니다.
- 실제 구슬을 연상시키며, 사용자가 아이콘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플랫 디자인(Flat Design) 시기
- 입체감과 데코레이션 요소를 제거하고, 평면적이고 단순한 색상과 형태만을 남긴 디자인으로 변화합니다.
- 모바일 환경과 다양한 화면에서의 가독성을 고려한 변화였으며, 정보 전달과 기능 중심의 UI/UX 철학이 반영된 시기입니다.
머터리얼 디자인(Material Design) 시기
- 2014년 이후 크롬 아이콘 및 UI전반에 머터리얼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 플랫 디자인의 단순함을 유지하면서, 레이어와 그림자 효과로 깊이감과 질감을 추가합니다.
- 구글의 머터리얼 디자인은 "촉감 있는 표면, 대담한 그래픽,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을 강조합니다.
- 크롬 아이콘에도 약한 그림자, 색상 농도 조절 등이 더해져 머터리얼 디자인 특유의 감각을 표현했습니다.
- 참고 Material Design 공식가이드
플랫디자인의 재해석: 2022년~ 현재
- 머터리얼 디자인 기반이지만, 더욱 극단적으로 단순화된 플랫 디자인으로 진화합니다.
- 빨강, 노랑, 초록 부분 간의 그림자 완전 제거 → 완전한 2D화
- 색상은 더욱 밝고 선명해졌으며, 중앙의 파란 원이 커져 시각적 중심을 더욱 강조합니다
- 완전한 단색이 아니라, 대비가 강한 색상 간에 미묘한 그라데이션이 존재해 색채 균형을 유지합니다.
- 참고 크롬 로고의 역사와 진화
크롬 로고 하나만으로도 지난 10여년간의 디자인 트렌드를 읽을 수 있습니다.
자격증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단순히 외형의 변화만이 아니라, 그변화의 이유와 배경까지 함께 이해하시면
디자인 문제에서 유리하실 거에요.
반응형
'UIUX디자인 >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평가 시리즈 #1] 좋은 UX란 무엇인가 – ISO 9241-11 사용성 기준 완전 정리 (0) | 2025.07.21 |
---|---|
UI/UX 차이 개념부터 사용자 중심 사고까지 완벽 정리 (8) | 2025.07.18 |
[필수] 2025년 스마트스토어·쿠팡·인스타그램 등 상세페이지 이미지 사이즈 총정리 (0) | 2025.03.19 |
2025년 모바일 디바이스별 해상도: 반응형 뷰포트 가이드 & 트렌드 분석 (0) | 2025.02.25 |
UX Design - 디자이너를 위한 접근성 연구 가이드 (1)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