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웹디자인개발기능사 문항이 올해부터 많이 바뀌어서 시험본 제자들과 SNS의 댓글로 취합을 해보고
전자책을 만들어볼까 했는데요 (무료배포예정)
아무래도 취합된 자료가 많지 않아 일단 블로그에 공유 해봅니다.
PART4은 웹 콘텐츠 개발 및 프로젝트 관리 문항이고 총 49문제입니다.
1. 멀티미디어의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 a) 텍스트만 포함된 정보
- b)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통합하여 전달하는 방식
- c) 정적인 이미지 파일
- d) 단일한 데이터 형식의 정보
멀티미디어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통합하여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풍부한 경험을 제공
멀티미디어 = 다양한 정보 형태의 통합
2.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 a) 텍스트
- b) 이미지
- c) 스프레드시트
- d) 오디오
스프레드시트는 데이터 분석 도구로, 멀티미디어의 구성 요소로는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음
멀티미디어 구성 요소 =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3. 멀티미디어의 주요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a) 상호작용성
- b) 비선형성
- c) 단일 정보 전달
- d) 통합성
멀티미디어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통합하여 전달하므로, 단일 정보 전달은 그 특징에 부합하지 않음.
멀티미디어 특징 = 상호작용성, 비선형성, 통합성
4.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주요 응용 분야가 아닌 것은?
- a) 교육
- b) 엔터테인먼트
- c) 데이터베이스 관리
- d) 광고
멀티미디어는 교육, 엔터테인먼트,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주로 데이터 저장 및 검색에 초점을 두므로 멀티미디어의 주요 응용 분야로 보긴 어려움
멀티미디어 응용 분야 = 교육, 엔터테인먼트, 광고 등
5.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시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 a) 사용자 인터페이스
- b) 콘텐츠의 일관성
- c) 데이터 암호화
- d) 기술적 호환성
데이터 암호화는 보안과 관련된 요소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시 직접적인 고려 사항은 아님
멀티미디어 제작 고려 요소 = 사용자 인터페이스, 콘텐츠 일관성, 기술적 호환성
6.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이 아닌 것은?
- a) 해상도
- b) 반응 속도
- c) 사용자 만족도
- d) 파일 크기
파일 크기는 저장 및 전송과 관련된 요소로, 콘텐츠의 품질을 직접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은 아님
멀티미디어 품질 평가 기준 = 해상도, 반응 속도, 사용자 만족도
7.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호작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a) 사용자 입력에 따른 반응 제공
- b) 정적인 콘텐츠 제공
- c) 인터랙티브한 요소 추가
- d) 사용자 선택에 따른 콘텐츠 변화
정적인 콘텐츠는 상호작용성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상호작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음
상호작용성 향상 = 사용자 입력 반영, 인터랙티브 요소 추가
8.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비선형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a) 순차적인 정보 전달
- b)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정보 흐름
- c) 고정된 정보 구조
- d) 일방향 정보 전달
비선형성은 사용자가 콘텐츠의 흐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함
비선형성 = 사용자 주도형 정보 탐색
9.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 a) 콘텐츠 통합
- b) 인터페이스 설계
- c) 데이터베이스 관리
- d) 상호작용 기능 구현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는 콘텐츠 통합, 인터페이스 설계, 상호작용 기능 구현 등을 지원하지만,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주된 기능이 아님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기능 = 콘텐츠 통합, 인터페이스 설계, 상호작용 구현
10.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 a) 사용자의 기술 수준
- b) 지원하는 파일 형식
- c) 개발자의 취향
- d) 플랫폼 호환성
도구 선택은 사용자의 기술 수준, 지원 파일 형식, 플랫폼 호환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개인의 취향은 주요 고려 요소가 아님
저작 도구 선택 고려 요소 = 기술 수준, 파일 형식 지원, 플랫폼 호환성
11. 멀티미디어 저작 과정에서 스토리보드의 역할은?
- a) 최종 콘텐츠 배포
- b) 콘텐츠의 시각적 설계
- c) 사용자 피드백 수집
- d) 데이터 암호화
스토리보드는 콘텐츠의 흐름과 시각적 구성을 계획하는 도구로, 저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스토리보드 = 콘텐츠 흐름 및 시각적 구성 계획
12.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a) Adobe Flash
- b) Microsoft Word
- c) Adobe Director
- d) Apple iMovie
Microsoft Word는 문서 작성 도구로,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로는 적절하지 않음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예시 = Adobe Flash, Adobe Director, Apple iMovie
13. 멀티미디어 저작 시 고려해야 할 저작권 관련 요소가 아닌 것은?
- a) 콘텐츠의 출처
- b) 사용 권한
- c) 파일 크기
- d) 라이선스 조건
파일 크기는 저작권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출처, 사용 권한, 라이선스 조건 등이 주요 고려 요소
저작권 고려 요소 = 출처, 사용 권한, 라이선스 조건
14. 다음 중 비손실 압축 방식으로 저장되는 이미지 파일 형식은?
- a) JPEG
- b) PNG
- c) MP3
- d) GIF
PNG(Portable Network Graphics)는 비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이미지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음.
반면, JPEG는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여 파일 크기를 더 줄일 수 있지만 이미지 품질이 일부 손상될 수 있음.
- 비손실 압축: 데이터 손실 없이 압축하는 방식
- PNG: 비손실 압축 이미지 포맷
15. 오디오 파일 형식 중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것은?
- a) WAV
- b) FLAC
- c) MP3
- d) AIFF
MP3는 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는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인간이 잘 인지하지 못하는 소리를 제거하여 파일 크기를 줄임. WAV와 AIFF는 비압축 또는 비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하여 원음에 가까운 품질을 유지하지만
파일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음
- 손실 압축: 일부 데이터를 제거하여 파일 크기를 줄이는 방식
- MP3: 손실 압축 오디오 포맷
16. 다음 중 벡터 그래픽 형식은?
- a) BMP
- b) SVG
- c) JPEG
- d) PNG
SVG(Scalable Vector Graphics)는 벡터 그래픽 형식으로,
수학적 정의를 통해 이미지를 표현하여 확대나 축소 시에도 품질 손상이 없음.
반면, BMP, JPEG, PNG는 래스터(비트맵) 형식으로, 픽셀 단위로 이미지를 표현하여 확대 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음.
- 벡터 그래픽: 수학적 정의를 통해 이미지 표현
- SVG: 벡터 기반 이미지 포맷
17. 비디오 파일 형식 중에서 스트리밍에 적합한 것은?
- a) AVI
- b) MOV
- c) MP4
- d) MKV
MP4는 고효율 압축 코덱을 사용하여 파일 크기를 줄이면서도 품질을 유지하며,
스트리밍에 최적화된 비디오 파일 형식임.
AVI와 MOV는 비교적 오래된 형식으로, 스트리밍보다는 다운로드 후 재생에 적합
- 스트리밍: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재생하는 방식
- MP4: 스트리밍에 최적화된 비디오 포맷
18. 다음 중 애니메이션을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 형식은?
- a) JPEG
- b) PNG
- c) GIF
- d) BMP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는 여러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 형식. JPEG, PNG, BMP는 정적인 이미지만을 지원
GIF: 애니메이션 지원 이미지 포맷
19. 고해상도 인쇄에 적합한 이미지 파일 형식은?
- a) JPEG
- b) PNG
- c) TIFF
- d) GIF
TIFF(Tagged Image File Format)는 고해상도 이미지를 비손실 압축 방식으로 저장하여 인쇄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음.
그래서 출판 및 인쇄 분야에서 널리 사용
TIFF: 고해상도 인쇄에 적합한 이미지 포맷
20. 다음 중 웹에서 오디오 스트리밍에 주로 사용되는 파일 형식은?
- a) WAV
- b) AIFF
- c) OGG
- d) MIDI
OGG는 오픈 소스 기반의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고음질을 유지하면서도 파일 크기를 줄여 웹 스트리밍에 적합.
WAV와 AIFF는 비압축 형식으로 파일 크기가 크고, MIDI는 실제 음성을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스트리밍에 적합하지 않음
OGG: 웹 오디오 스트리밍에 적합한 포맷
21. 다음 중 투명한 배경을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 형식은?
- a) JPEG
- b) BMP
- c) PNG
- d) TIFF
PNG는 알파 채널을 지원하여 투명한 배경을 표현할 수 있음.
그래서 웹 디자인에서 배경이 투명한 로고나 아이콘 등에 자주 사용.
반면, JPEG와 BMP는 투명 배경을 지원하지 않고, TIFF는 일부 경우에만 투명 배경을 지원
PNG: 투명 배경 지원 이미지 포맷
22.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기본 언어가 아닌 것은?
- a) HTML
- b) CSS
- c) JavaScript
- d) Python
HTML, CSS, JavaScript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기본 언어로, 각각 구조, 스타일, 동작을 담당함.
Python은 주로 서버 사이드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웹 페이지의 기본 구성 언어는 아님
- HTML: 웹 페이지의 구조
- CSS: 웹 페이지의 스타일
- JavaScript: 웹 페이지의 동작
23. HTML 문서에서 웹 페이지의 제목을 설정하는 태그는?
- a) <title>
- b) <head>
- c) <meta>
- d) <header>
<title> 태그는 브라우저의 탭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의 제목을 설정하는 데 사용.
<head> 태그는 문서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부분이고, <meta>는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며,
<header>는 본문 내의 헤더를 정의하는 태그
24. 다음 중 HTML5에서 새롭게 추가된 시맨틱 태그가 아닌 것은?
- a) <article>
- b) <section>
- c) <div>
- d) <nav>
HTML5에서는 문서의 구조를 명확히 하기 위해 <article>, <section>, <nav> 등의 시맨틱 태그가 추가되었음.
<div>는 시맨틱 의미가 없는 일반적인 컨테이너 태그로, HTML4부터 사용되었음
시맨틱 태그: 문서 구조를 명확히 하는 의미 있는 태그
25. CSS에서 글꼴의 크기를 설정하는 속성은?
- a) font-style
- b) font-weight
- c) font-size
- d) text-align
font-size는 텍스트의 크기를 설정하는 CSS 속성.
font-style은 글꼴의 스타일(예: 이탤릭)을, font-weight는 글꼴의 두께를, text-align은 텍스트의 정렬 방식을 설정
26. JavaScript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키워드가 아닌 것은?
- a) var
- b) let
- c) const
- d) define
JavaScript에서는 var, let, const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
define은 JavaScript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키워드가 아님
27. HTML에서 하이퍼링크를 생성하는 태그는?
- a) <link>
- b) <a>
- c) <href>
- d) <nav>
<a> 태그는 다른 페이지나 리소스로의 하이퍼링크를 생성하는 데 사용.
<link>는 외부 리소스를 문서에 연결할 때 사용하고, <href>는 존재하지 않는 태그
28. CSS에서 선택자(selector)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 a) 태그 선택자
- b) 클래스 선택자
- c) ID 선택자
- d) 전체 선택자
CSS에서 선택자의 우선순위는 ID 선택자 > 클래스 선택자 > 태그 선택자 > 전체 선택자 순.
따라서 ID 선택자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짐
저번시험에 스크립트 문제가 좀 나왔다고 해서 추가문제!
29. JavaScript에서 함수를 선언하는 올바른 방법은?
- a) function = myFunction() {}
- b) function myFunction() {}
- c) function: myFunction() {}
- d) def myFunction() {}
JavaScript에서 함수를 선언할 때는 function 키워드 다음에 함수 이름과 괄호를 사용하여 정의.
다른 옵션들은 JavaScript의 함수 선언 방식이 아님
JavaScript 함수 선언: function 함수이름() {}
30. JavaScript에서 === 연산자의 의미는?
- a) 값만 비교
- b) 값과 자료형 모두 비교
- c) 변수 선언
- d) 문자열 연결
===는 엄격한 비교(strict equality) 연산자로, 두 값이 동일하고 자료형까지 같아야 true를 반환.
==는 값만 비교하고 자료형은 무시함.
31. JavaScript에서 이벤트 리스너를 등록할 때 사용하는 함수는?
- a) setTimeout()
- b) querySelector()
- c) addEventListener()
- d) getElementById()
addEventListener()는 특정 DOM 요소에 이벤트(예: click, mouseover 등)를 연결하는 데 사용.
이벤트 기반 웹 프로그래밍의 핵심 함수 중 하나
- addEventListener(event, function)
- DOM 조작 + 이벤트 처리
32. JavaScript에서 함수 표현식으로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 a) let x = function() {};
- b) function = x() {};
- c) define x = () => {};
- d) create function x() {};
함수 표현식은 변수에 함수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실행 순서나 클로저와 관련해 활용도가 높음.
ES6 이후엔 화살표 함수(=>)도 많이 사용
- 함수 표현식: let func = function() {}
- 화살표 함수: let func = () => {}
33. 다음 중 JavaScript의 자료형이 아닌 것은?
- a) Boolean
- b) Null
- c) String
- d) Color
JavaScript 기본 자료형에는 Number, String, Boolean, Null, Undefined, Symbol, Object 등이 있음.
Color는 존재하지 않는 자료형
- JavaScript 자료형 → 기본형 + 참조형
- 기본형: String, Number, Boolean, Null, Undefined, Symbol
34.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의 마지막 요소를 제거하는 메서드는?
- a) shift()
- b) pop()
- c) slice()
- d) push()
pop()은 배열의 마지막 요소를 제거하고, 그 요소를 반환.
push()는 요소 추가, shift()는 첫 요소 제거, slice()는 잘라내기 용도
배열 조작 메서드: push(), pop(), shift(), unshift(), slice()
35. 다음 중 웹 프로젝트 산출물로 보기 어려운 것은?
- a) 디자인 시안
- b) 개발 소스 코드
- c) 서버 IP 목록
- d) 프로토타입
산출물은 프로젝트의 결과물로 디자인, 소스 코드, 기획 문서, 프로토타입 등이 해당.
서버 IP 목록은 시스템 설정에 가까운 항목
산출물 = 프로젝트 결과로 생산된 문서 및 파일
36. 산출물 정리 시 가장 중요한 원칙은?
- a) 알파벳순 정렬
- b) 파일 용량 최소화
- c) 일관된 분류 기준
- d) 랜덤 저장
정리된 폴더 구조와 명확한 파일 분류는 팀원 간 협업과 자료 검색을 빠르게 도와줌
파일 정리 = 체계적인 폴더/명명 규칙
37. 다음 중 산출물 정리에 적합한 툴이 아닌 것은?
- a) Notion
- b) Google Drive
- c) GitHub
- d) Adobe Premiere
Adobe Premiere는 영상 편집 툴로, 자료 정리 도구가 아님. 나머지는 산출물 저장 및 관리에 적합
정리 도구 = 클라우드 저장소, 협업 플랫폼
38. 프로젝트 파일 백업 시 권장되지 않는 방법은?
- a) 외부 저장소 백업
- b) 클라우드 저장
- c) 이메일 첨부
- d) Git 저장소 활용
이메일은 관리가 어렵고 용량 제한이 있어 백업 방식으로는 비효율적
안전한 백업 = 클라우드 + 로컬 이중 저장
39. 디자인 산출물 관리 시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정보는?
- a) 파일 크기
- b) 파일 생성 날짜
- c) 사용한 폰트와 색상 코드
- d) 사용자 수
재사용이나 수정 시 유용한 정보로, 폰트, 컬러 코드, 이미지 소스는 필수로 명시해야 함
디자인 산출물 = 시각 요소 + 메타정보 기록
40. 데이터 보존이 필요한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 a) 파일 삭제를 위해
- b) 디자인 수정 방지를 위해
- c) 향후 유지보수 및 재사용을 위해
- d) 용량 확보를 위해
보존된 자료는 업데이트, 클라이언트 요청, 장애 복구 등에서 활용
데이터 보존 = 지속적인 활용 기반
41. 폐기 대상 자료로 적절한 것은?
- a) 최종 디자인 파일
- b) 계약서
- c) 임시 작업 파일
- d) 클라이언트 피드백
작업 중 생성된 중간 파일은 정리 후 폐기 대상이 될 수 있음
폐기 기준 = 사용 빈도 + 필요 여부
42. 다음 중 콘텐츠 분류 방식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a) 제작자별 분류
- b) 파일 유형별 분류
- c) 날짜별 분류
- d) 마우스 색상별 분류
현실적인 분류는 파일 속성과 사용 목적에 따라 이뤄짐
분류 체계 = 정렬 기준 + 프로젝트 특성 반영
43. 데이터 폐기 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 a) 파일 이름
- b) 백업 여부
- c) 메모리 카드 종류
- d) 모니터 해상도
데이터를 폐기하기 전에 백업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문제 발생 시 복구할 수 있음
데이터 폐기 전 → 백업 필수
44. 보존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권장 매체는?
- a) 외장하드
- b) CD-ROM
- c) 플로피디스크
- d) RAM
외장하드는 용량도 크고, 백업과 장기 보존에 안정적인 매체로 많이 쓰임
장기 보존 = 안정성 + 접근성 고려
45. 프로젝트 최종 보고서의 목적은?
- a) 소스코드 실행 속도 측정
- b) 프로젝트 성과와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
- c) 팀원들의 출결 확인
- d) 웹사이트 트래픽 분석
최종 보고서는 프로젝트의 목적, 과정, 결과를 문서로 정리하여 기록하고, 향후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만든 공식 문서
최종 보고서 = 목적 + 과정 + 결과의 기록
46. 최종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항목은?
- a) 프로젝트 개요
- b) 사용된 색상 코드
- c) 일정 및 작업 흐름
- d)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보고서는 보안상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아야 하며, 핵심 기능, 설계 의도, 개선 사항 등 프로젝트 진행 정보를 위주로 구성
개인정보 보호 = 보고서 제외 항목
47. 프로젝트 보고서에서 ‘성과 분석’ 항목에 포함될 수 있는 내용은?
- a) UI 설계 도면
- b) 사용성 테스트 결과
- c) 서버 트래픽 로그
- d) Git 커밋 메시지
성과 분석은 프로젝트 목표 달성 여부, 사용성 평가, 개선 결과 등을 수치나 피드백 기반으로 정리하는 영역
성과 분석 = 사용성, 목표 달성도 평가
48. 프로젝트 최종 제출 전 확인해야 할 항목은?
- a) 로고 크기
- b) 서버 렌탈 기간
- c) 산출물 포함 여부
- d) 아이콘 색상
제출 전에 모든 산출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문서가 완성되었는지 확인해야 해. 누락된 산출물은 평가에 불이익을 줄 수 있음
제출 전 체크리스트 = 산출물 완비
49. 최종 보고서를 PDF로 저장하는 주된 이유는?
- a) 이미지 화질 보존
- b) 문서 편집이 쉬워서
- c) 호환성과 보존성 확보
- d) 브라우저 전용 포맷이기 때문
PDF는 다양한 운영체제와 프로그램에서 내용이 변하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되는 문서 형식이기 때문에 공식 문서용으로 많이 쓰임
PDF = 보고서 형식의 표준
출제문제는 이렇게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시험에서 중요하게 다뤄진 키워드 중심 개념 정리는 별도 포스팅으로 이어갈 예정이니,
학습 참고용으로 활용해 주세요
어디서부터 시작할지는 고민 중이지만, 핵심 개념부터 차근차근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이번 웹디자인개발 기능사 필기 시험 접수는 6월 9일(월)부터 12일(목)까지입니다.
혹시 포스팅에 나온 문제 중 실제 시험에 출제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다른 수험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됩니다!
'자격증 > 웹디자인개발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시험 관련 문항 - 색채 계획 및 구현 (2) | 2025.05.20 |
---|---|
2025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시험 관련 문항 - 프로토타입 및 심미성 설계 (1) | 2025.05.16 |
2025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시험 관련 문항 - 기초 데이터 및 프로토타입 설계 (3) | 2025.05.09 |
2025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시험 총정리 문제 모음! (단원별 10문제 이상) (0) | 2025.03.21 |
2025 개정판: 웹디자인기능사X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 시험 개편 & 출제 기준 완벽 정리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