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11

CSS의 :has() 선택자 활용하기: 특정 자식 요소 선택하기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CSS의 `:has()` 함수는 특정 자식 요소를 가진 부모 요소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이것은 이전 CSS선택자에선 할 수 없는 것들을 가능하게 해주는데요. 아래 예시를 볼까요? Child1 Special Child Child2 .parent:has(.special) { background-color: yellow;}  위 코드에서 `.special` 클래스를 가진  두번째 `.parent` 요소가 선택 되어 배경색이 바뀝니다.   다음 예시도 볼까요? menu depth.. menu depth.. menu ..

WEB/CSS 2024.04.25

꼬맨틀 - 단어 유사도 추측 게임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오늘은 재미있는 게임, 꼬맨틀을 포스팅 해볼까 하는데요.이게임은 단어 유사도를 추측하여 매일 정해진 '오늘의 단어'를 맞히는 게임이에요꼬맨틀은 뉴스젤리라는 데이터시각화 전문 기업에서 만들었고,이미 753일이 넘게 매일 다양한 단어들을 맞히는 도전을 제공하고 있답니다. 엄청 오랜만에 다시 해보는데 재밌네요 ㅎㅎ    게임 방법은 간단해요.단어를 입력하면, 그 단어가 정답 단어와 얼마나 유사한지를 수치로 보여줘요유사도가 +100에 가까울 수록 단어가 정답에 가깝다는 뜻이죠.그리고 1,000위 안에 들어가면 유사도 순위도 확인할 수 있어요.단어는 명사, 동사, 형용사  등 모든 품사를 포함 할 수 있으며, 2글자 이상이어야 해요.     하지만 조금의 주의도 필요해요. 높은 유사도 순..

나/이것저것 2024.04.23

사이트 내 유용한 기능! Sticky 속성의 매력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오늘은 position속성 중 sticky를 써볼 건데요.. position관련 CSS를 포스팅 해놓은 게 없네요? 이런;; html에서 포지션역할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잘 쓰면 너무 좋은 데 absolute를 남발하는 개발자들 보면 단전에서부터 화가.. 요즘은 그러신 분 안 계시죠? sticky를 아직 안 써본 분이 계시려나.. 아마 ie에선 지원을 안 해서 쓰고 싶어도 못쓰는 그런일들이 있었죠. sticky속성은 relative와 fixed가 같이 적용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https://www.w3schools.com/css/tryit.asp?filename=trycss_position_sticky W3Schools online HTML editor The W3Sch..

WEB/CSS 2024.04.18

새로운 구글 머티리얼 심볼 활용법: 웹아이콘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이전에 xeicon관련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드디어 다음 포스팅을.. 2021.07.23 - [WEB/CSS] - 웹에서 사용가능한 웹아이콘 적용방법 - XEIcon 웹에서 사용가능한 웹아이콘 적용방법 - XEIcon 안녕하세요~ 드디어 3일차 글을 쓰게 된 찐망고입니다. 오늘은 웹에서 사용하기 편한 웹아이콘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예전에 자주 쓰던 사이트는 폰트어썸 uiweb.tistory.com 요즘은 워낙 svg가 대세이긴 해서 웹에서 사용하는 아이콘들이 svg가 많은데요. 아직도 곳곳에선 xeicon이나 구글아이콘 폰트어썸 등을 사용합니다. 구글아이콘은 사용하기는 편한데 종류가 별로 없어서..ㅎㅎ 워낙 다른 블로그 포스팅에 html을 이용..

WEB/CSS 2024.04.17

웹 디자인을 위한 기본 폰트 단위: px, em, rem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오늘은 폰트 단위 관련 포스팅을 시작해볼게요 HTML에서 단위는 상대적인수치와 절대적인수치로 나뉘는데요. div { width: 200px; height: 200px; font-size: 16px; } div > span { display: block; width: 100%; height: 80%; font-size: 1em; } span이 div의 자식이라고 가정할 때 %는 부모요소의 크기를 기준으로 들어갑니다. width와 height모두 200px이 되겠죠? 본인이 absolute인 경우엔 relative의 크기를 상속받기도 합니다. 참고로 height요소를 %로 지정할 경우 무조건 상속받을 부모에게 높이값이 존재해야 합니다. px말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폰트 단위는 em과..

WEB/CSS 2024.04.16

CSS 그리드로 메이크샵 레이아웃 클론코딩하기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오늘도 간단한 그리드레이아웃을 연습한 샘플을 보여드릴게요.일단 그리드 레이아웃이 처음이라고 한다면 이전글을 보고 오시고..  CSS Grid Container 속성CSS Grid Layout-1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오늘은 그리드 레이아웃에 대해 포스팅을 해볼 건데요. 저는 음 실무에 그나마 더 도움이 될만한 각각의 섹션을 그리드로 짜볼까 하는데요. 수업 중에는uiweb.tistory.com  CSS Grid Items 속성CSS Grid Layout-1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오늘은 그리드 레이아웃에 대해 포스팅을 해볼 건데요. 저는 음 실무에 그나마 더 도움이 될만한 각각의 섹션을 그리드로 짜볼까 하는데요. 수업 중에는uiweb.tist..

WEB/CSS 2024.04.15

2024년 최신 모바일 웹 디자인 가이드: 필수 해상도와 브레이크포인트

안녕하세요 찐망고 입니다. 요즘은 디자인 시안을 모바일 버전부터 먼저 뽑는다는 이야기가 있죠? 제가 전에 포스팅했던 단위 dp에 대해서 이해하고 나면, 디자인 시안은 1 배율에 맞는 화면으로 작업하는 게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거예요. 단위 DP란 뭘까요?안녕하세요 찐망고 입니다. 오늘은 안드로이드와 iOS단위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일단 해상도를 좀 알아볼까 해요 해상도는 화면에 보이는 픽셀의 총 개수를 이야기합니다. 요즘 나오는 스uiweb.tistory.com 보통 1배율은 안드로이드 해상도 기준 360*640, iOS는 375*812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렇다면 마크업은 어디까지 해야 할까요?  Statcounter에서 우리나라 운영체제 시장점유율을 검색해 보면, 2022년까지만 해도 윈도의..

모바일 환경에서의 뷰포트 높이: vh에서 dvh로 전환하기

안녕하세요 찐망고 입니다. 오늘은 모바일 뷰포트 관련 이야기를 포스팅 해볼게요 vw와 vh는 뷰포트 너비와 높이를 이야기합니다. 폰트나 여백이나 길이의 단위를 뷰포트 단위를 사용하게 되면, 아무래도 브라우저 사이즈에 영향을 받겠죠? 1vw는 뷰포트 너비를 기준으로 100분의 1인데 만약 브라우저 사이즈가 1850px이라면 1vw는 18.5px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1vh는 뷰포트 높이를 기준으로 100분의 1이고 브라우저 높이에 따라 변하겠죠? 요소 높이에 100vh를 주게 되면 전체 높이에 꽉 차게 작업을 할 수 있는데 모바일에선 이슈가 좀 있습니다. 모바일 주소 표시줄 영역 때문인데요. 저렇게 주소표시줄 때문에 밀리는 현상 많이 보셨나요? ㅎㅎ 그래서 풀페이지 사이트 만들 때도 저런 현상들 때문에 ..

WEB/CSS 2024.04.09

마우스 호버 CSS 밑줄 효과, CSS hover 밑줄 애니메이션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오늘은 마우스 hover시 텍스트에 밑줄이 들어가는 작업을 해볼 거예요 https://hobancf.or.kr/ 호반문화재단Creating culture, connecting hearts.www.hobancf.or.kr  https://www.yesan.go.kr/chusa.do 추사기념관추사 김정희의 지혜와 고고함이 배어있는 예산군 추사고택 추사기념관www.yesan.go.kr   저런 밑줄 효과를 주기 전에 기본적으로 css를 이용하면여러 가지 방법으로 밑줄을 나오게 할 수 있는데요.아래 네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text-decorationborder-bottom::before나 ::after 사용background-image를 이용한 그라디언트 사용 첫 번째 방법인 text-..

WEB/CSS 2024.04.08

addEventListener()

안녕하세요 찐망고입니다. addEventListener()는 JavaScript에서 이벤트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인데요. 이 메서드를 사용하면 HTML 요소에 이벤트 리스너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element.addEventListener(event, function, useCapture); window.addEventListener('scroll', function() {}) function toggleOnClass() { header.classList.add("on"); } const btn = document.querySelector("button") btn.addEventListener("mouseenter", toggleOnClass) 클릭이벤트 (click): 사용자가 마우스로 요..

WEB/JS이론 2024.04.05